언어재활사 국가고시란?
언어재활사는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아동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대상자에게 전문적인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는 전문가입니다.
이 전문직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언어재활사 국가고시에 합격해야 하며, 국가고시는 국시원(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이 주관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1급과 2급 언어재활사 시험의 응시자격, 시험과목, 합격기준, 합격률, 시험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언어재활사 2급 응시자격
언어재활사 2급은 언어재활사의 첫 단계로, 관련 학과 졸업자가 응시할 수 있습니다.
-
언어재활·언어치료·언어병리 관련 학과 졸업자(전문학사·학사·석사)
-
필수 교과목: 신경언어장애, 언어발달장애, 조음·음운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 언어재활실습 등
-
단, 마약·향정신성 약물 중독자, 피성년후견인 등은 응시 제한
언어재활사 1급 응시자격
언어재활사 1급은 2급 취득 이후 경력을 쌓아야 응시 가능합니다.
-
박사·석사 학위 소지자 + 언어재활기관 1년 이상 재직
-
학사 학위 소지자 + 언어재활기관 3년 이상 재직
-
언어재활기관은 월 60시간 이상 근무, 4대 보험 일부 가입 등 조건 충족 필요
언어재활사 시험과목
언어재활사 시험은 모두 객관식 5지선다형으로 출제됩니다.
-
2급 (총 150문항)
-
1교시: 신경언어장애(30), 유창성장애(25), 음성장애(25)
-
2교시: 언어발달장애(35), 조음음운장애(35)
-
-
1급 (총 140문항)
-
1교시: 신경언어장애(24), 언어발달장애(24), 유창성장애(24)
-
2교시: 음성장애(24), 조음음운장애(24), 언어재활현장실무(20)
-
👉 보다 구체적인 출제범위와 기출문제는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출제범위/기출 다운로드언어재활사 합격기준
국가고시 합격 기준은 1급과 2급 모두 동일합니다.
-
총점의 60% 이상
-
각 과목 40% 이상 득점
즉, 과목 간 편차 없이 균형 잡힌 학습 전략이 중요합니다.
언어재활사 최근 합격률
최근 5년간 합격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1급 언어재활사
-
2024년: 51.4%
-
2023년: 63.7%
-
2022년: 59.1%
-
2021년: 74.0%
-
2020년: 67.6%
-
-
2급 언어재활사
-
2024년: 60.7%
-
2023년: 70.9%
-
2022년: 68.7%
-
2021년: 75.0%
-
2020년: 83.6%
-
👉 합격률은 2급이 60% ~ 80%, 1급이 50% ~ 70%로 1급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으며 경력 조건이 필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언어재활사 2025년 시험일정
2025년도 시험일정은 국시원 공지에 따라 아래와 같습니다.
-
원서 접수: 2025년 9월 3일(수) ~ 9월 10일(수)
-
시험일: 2025년 12월 6일(토)
-
시험장 공고: 2025년 11월 5일(수)
-
합격자 발표: 2025년 12월 24일(수)
시험장은 국시원 홈페이지 시험장소 확인하기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결론: 언어재활사 준비 전략
언어재활사가 되기 위해서는 응시자격 충족, 국가고시 합격이라는 두 가지 관문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
2급: 학부 또는 전문학사 과정에서 교과목을 이수하고 국가고시 준비
-
1급: 2급 취득 후 경력 쌓기 + 심화 학습 필수
👉 준비 과정에서는 반드시 출제범위와 기출문제를 반복 학습하는 것이 핵심 전략입니다. 이는 단순히 합격을 넘어, 실제 현장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