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기능사 자격증은 건축물의 안전과 직결되는 승강기 설치·점검·정비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된 국가기술자격입니다.
최근 건축물 고층화와 함께 승강기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해당 자격증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승강기기능사 시험 과목과 합격 기준, 필기·실기 합격률 분석, 연령별·성별 통계, 그리고 취업 전망까지 자세히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50대 중장년층에서 높은 합격률과 취업률을 보이는 이유를 함께 살펴보며, 수험생들이 체계적으로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승강기기능사가 하는 일
승강기기능사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덤웨이터, 수평보행기 등 다양한 승강기를 설치하고,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점검·보수·정비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주요 수행직무로는 승강기 설치, 유지관리, 안전관리, 부품 점검 및 교체 등이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역할입니다.
특히 건물 내 전기 설비, 기계 장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전기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이 필수적입니다.
승강기기능사 전망과 50대 자격증 취득자가 취업률이 높은 이유
승강기 산업은 건축물 고층화와 노후 승강기 교체 수요 증가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등록된 승강기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안전 관리 인력에 대한 수요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 응시자의 취업률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실무 경험과 기계·전기 분야 경력을 보유한 경우가 많아 현장 적응력이 뛰어남
-
중장년층의 재취업 및 전직 과정에서 수요가 꾸준히 존재
-
승강기 안전관리 분야는 신체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고, 전문성을 인정받아 장기 근무 가능
즉, 기술 숙련도와 안정적인 고용 환경이 맞물려 50대 취득자의 고용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승강기기능사 시험 필기와 실기 과목과 합격 기준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구분되며,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합니다.
-
필기시험 과목:
- 승강기 설치
- 유지관리
- 안전관리
- (객관식 60문항, 시험 시간 60분)
- 실기시험 과목:
- 승강기 설치 및 유지관리 실무 (작업형, 약 3시간 30분)
-
합격 기준:
-
필기와 실기 모두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을 받아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시험과목의 출제기준과 실기 시험 공개문제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제기준 확인하기 공개문제 확인하기필기와 실기 합격률 분석
최근 5년간 승강기기능사 합격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필기 합격률:
2020년 51.6% → 2024년 35.9%
점차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난이도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실기 합격률:
2020년 73.7% → 2024년 79.8%
비교적 안정적인 합격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필기에 비해 난이도가 낮게 평가됩니다.
즉, 승강기기능사 필기에서 많은 수험생이 탈락하고, 실기는 필기 합격 이후 꾸준히 준비하면 합격 가능성이 높은 구조라 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수험생들은 필기 과목을 철저히 준비해야 하며, 학습 시에는 기출문제 풀이와 NCS 기반 교재 학습이 효과적입니다.
2024년 수험자 성별, 연령대별 및 직업별 동향 및 분석
2024년 통계에 따르면 총 응시자는 14,112명(필기), 5,919명(실기)이었으며, 합격자는 각각 5,068명(필기), 4,726명(실기)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성별 분석:
남성 응시자가 88.3%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합격률은 남성 35.5%, 여성 34.7%로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
연령대별 분석:
-
10대: 합격률 23% (가장 낮음)
-
20대: 49.6%
-
30대: 57.7%
-
40대: 60.3%
-
50대: 73.8%
-
60대: 73.7%
👉 50대와 60대 응시자의 합격률이 가장 높아, 중장년층의 학습 집중도와 실무 경험이 합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습니다.
-
-
학습기간별 분석:
3개월 미만 준비자의 합격률은 33.8%에 불과했지만, 6개월 이상 준비자는 40% 이상, 2~3년 준비자는 46.2%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단기간 벼락치기보다는 체계적인 학습 계획이 필요함을 보여줍니다.
👉 향후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은 반드시 승강기기능사 시험일정 확인을 통해 응시 일정을 체크하고, 충분한 학습 기간을 확보하는 것이 합격률을 높이는 핵심 전략입니다.
시험일정 확인하기결론
승강기기능사 자격증은 건축물 안전관리와 직결되는 전문 자격으로, 특히 중장년층에서 높은 취업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필기시험의 난이도가 점차 상승하는 추세이므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며, 실기시험은 꾸준히 연습한다면 합격 가능성이 높은 편입니다.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만큼, 충분한 학습 기간을 확보하고 기출문제와 공개문제를 활용해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