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사는 전기 분야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특히 건설 현장, 아파트 관리소, 공공기관, 제조업체 설비팀 등 다양한 곳에서 필요한 만큼 취업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기능사 하는일, 필기·실기 시험 과목과 합격 기준, 그리고 최근 합격률 추세까지 한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전기기능사 하는일
전기기능사의 주요 업무는 전기설비를 설치, 유지보수, 점검하는 일입니다. 전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건물이나 공장의 배선, 배관, 제어회로를 관리하고, 고장이 발생했을 때 신속히 수리하는 역할도 담당합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건설 현장: 아파트, 빌딩, 산업단지의 전기 설비 시공
-
공공기관: 전기 시설 관리 및 안전 점검
-
제조업체 설비팀: 전기 기계 및 설비의 유지보수
-
아파트 관리소: 입주민 생활과 직결된 전기 안전 관리
즉, 전기기능사 자격은 실무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자격증이며, 취업 안정성도 높은 편입니다.
전기기능사 필기시험 과목과 합격기준
전기기능사 필기시험은 객관식으로 총 3과목이 출제됩니다.
- 전기이론
- 전기기기
- 전기설비
시험은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합격이며, 평균 합격률은 30%대 중반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 필기시험의 경우 응시자 61,127명 중 22,133명이 합격하여 36.2%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 보다 구체적인 과목별 세부 출제기준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제기준 다운로드하기전기기능사 실기시험 과목과 합격기준
실기시험은 필답형이 아닌 작업형으로 진행됩니다. 주요 출제 내용은 전기설비 배관·배선공사와 제어회로 제작입니다. 응시자는 주어진 도면을 보고 실제 전기 배선을 완성해야 하며, 정확성과 안전성이 평가의 핵심이 됩니다.
실기시험 합격 기준은 필기와 동일하게 60점 이상이며, 필기에 비해 합격률이 높은 편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실기시험 응시자 30,545명 중 22,655명이 합격해 74.2%의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5년간도 꾸준히 70% 내외의 높은 합격률을 유지하고 있어 필기만 통과하면 실기 합격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연습을 위해서는 아래의 실기 공개문제를 활용하여 실습훈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실기공개문제 다운로드전기기능사 최근 합격률 추세
전기기능사 합격률은 해마다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필기시험: 평균 33~37%
-
실기시험: 평균 70~74%
2020년에는 필기 37.2%, 실기 67.1%였고, 2024년에는 필기 36.2%, 실기 72.6%로 나타났습니다. 필기시험은 난이도가 높은 편이지만, 실기시험은 반복 연습을 통해 충분히 준비할 수 있어 도전해볼 만한 가치가 큽니다.
👉 정확한 연간 4회 실시하는 시험일정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접수 기간과 시험 일정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일정 확인하기전기기능사 자격증의 가치는 꾸준히 상승한다
전기 안전법 강화와 더불어, 전기기능사 취득자는 점점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설비 확산과 함께 전기 안전관리 인력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기기능사 자격증은 미래에도 꾸준히 유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기기능사 하는일은 현장성과 실무성이 높은 만큼 취업 연계성이 강하고, 합격률도
실기에서 높은 편이라 도전할 만한 가치가 충분합니다.